칸추리보이

칸추리보이

RSS 피드
  • 분류 전체보기 (74)
  • 홈
  • 태그
  • 방명록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칸추리보이

컨텐츠 검색

태그

얼룩무뇌 부지깽이 스님 수나우저 빠찐코 빠찌프로 전매특허 할머니 영주자 아이 행군 쑥고개 지족선사 오무라수용소 손바닥 음란골 영주허가 밀항자 구기시 회장에서 백수까지

댓글

공지사항

정감록(1)

  • 정감록의 실체

    역사상 존재한 한국의 정치적 예언서는 실개천들에 비유된다.‘정감록’은 그 냇물들이 한데 모여들어 이뤄낸 호수라고 볼 수 있다.18세기 전반, 조선 영조 때 역사의 무대 위로 처음으로 등장한 ‘정감록’은 지난 200∼300년 동안 더욱 내용이 풍부해졌다. 이제 ‘정감록’은 민간에 유행하는 예언서를 모두 일컫는 일반명사가 되어 있다. ‘정감록’의 핵심은 정감과 이심 및 이연 등 3인의 대화다. 이를 ‘감결’이라고도 하는데 이본이 많다. 길이가 가장 짧은 한글 본은 약 2430자, 가장 긴 한문본은 6030여자나 된다.‘정감록’에는 ‘감결’을 비롯해 여러 종류의 예언서가 속해 있다.‘삼한산림비기(三韓山林秘記)’,‘화악노정기(華岳路程記)’,‘구궁변수법(九宮變數法)’,‘동국역대본궁음양결(東國歷代本宮陰陽訣)’,‘무..

    2023.06.09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