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의 전매특허 빠찡코
일본에 와 본 사람이면 다 알겠지만, 한국에 없는 것 중에 하나가 빠찡코다.
일본에는 약 1만5천 개의 빠찡코 점포가 있다. 또 전차 역 주변에는 아무리 작은 역이라도 빠찡코 가게가 있다.
큰 역은 수십 점포, 작은 역도 몇 점포씩은 꼭 있다. 어느 점포나 사람으로 가득하고, 남녀노소 할것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 거기에 고등학생까지 끼어든다. 물론 미성년자는 출입금지이지만 사복 입고 버젓이, 나이를 증명하는 주민등록증 검사도 없으니까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일본의 빠찡코 산업은 30조엔 규모이다. 한국 돈으로 하면 300조원이 넘을 것이니 한국 정부 1년 예산과 거의 비슷하다.
거기에 외상이 없는 현금장사이니 장소만 좋으면 돈버는 장사다.
빠찡코의 원조는 나고야라고 한다.
전쟁이 끝나고 군수물자인 베어링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
빠찡코 가게에 들어가면, 사람 어깨 정도의 넓이의 기계가 꽉 들어차 있다.
거기에 구슬(다마)을 사는 기계가 각 기계 옆에 붙어있다. 그곳에 100엔, 500엔 동전, 또 고액권 지폐, 요새는 카드를 사서 쓴다. 구슬을 사서 자기 기계에 넣고 핸들을 돌려 구슬를 구멍에 넣으면 번호가 돌아간다.
그 번호가 맞아 떨어지면 구슬이 팍팍 나온다.
나온 구슬을 카운터에 가져가서 경품과 바꾼다. 또 경품을 점포 옆 교환소에 가져가면 돈으로 바꾸어 준다.
본래 법으로는 나온 구슬은 현금으로 바꿀 수가 없고, 물건 아니면 경품으로 바꾸어 주게 되어 있다.
아마 현찰과 바꿀 수 없다면, 하려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러니 현금 교환소는 나온 경품을 사주는 곳이다.
들어가는 돈 액수도 보통이 아니다. 1만엔 가지면 한 시간도 못간다.
하루에 10만엔 이상 없어졌다고 투덜대는 사람들도 많다.
이렇게 자기 컨트롤을 못 하는 사람들은 한국사람, 특히 일본에 와서 얼마 안되는 비행기 1세들이 많다.
번호가 한방 맞아 떨어져 주어, 한 번 나오면 약 5000엔 정도. 1천엔 2천엔 들어가서 한번 나와주면 좋지만, 몇 만엔 들어가도 인사도 안 해주는 기계도 있으니까, 장난으로 해선 안될 도박이다.
빠찡코 프로(빠찡코를 해서 먹고 사는 사람들. 일본에서는 빠찌프로라고 부른다)가 존재한다고 하지만, 옛날 수동식 기계 시절엔 솜씨 기술이 통용되었지만 지금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되어서 솜씨 기술이 통용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래도 존재하는 모양이다.
내가 알고 있는 사람 중에 빠찡코 가게 종업원이 있다. 보통 빠찡코 가게에서는 내부에서 돌아가는 사실들을 종업원들에게 함구령이 내려져 비밀로 하는 것이 보통이나, 그 종업원은 곧잘 이야기 하여 준다.
또한 내부의 비밀은 신기하기도 하고 호기심도 있게 된다.
그 종업원의 말에 의하면, 1 : 1 : 8 아니면 2 : 2 : 6 라고 한다.
기계 10대 중에 손님에게 따게 해주는 기계가 1대, 본전치기가 되는 기계가 1대, 손님의 돈 나가게 하는 기계, 즉 점포 측의 수금기계가 8대라고 한다.
이 상태로 얼마쯤 지나면 손님이 줄어든다고 한다.
재미 못 본 손님이 늘면 손님수가 점점 줄어든다.
그래서 다음 얼마 동안을 2(따는 기계) : 2(본전치기 기계) : 6(수금 기계)으로 하면 이젠 손님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즉 118에서 226으로 끌어들였다가 놓아주었다가 하는 셈이다.
또한 각 기계별로 이 기계는 얼마쯤 이익을 보게 할까, 손해를 보게 할까는 조절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 조절하는 사람을 구기시(釘師, 구기(釘)는 일본말로 못. 즉 못을 조절하는 사람)하여, 밤중에 자기 혼자서 조정한다고 한다. 어느 기계가 어떤 상태의 기계인지는 종업원들도 모르고 영업이 끝나서야, 그런 기계였구나 하고 알 수 있다고 한다.
하루 영업이 끝난 후에야 돈을 풀어주는 기계인지, 돈을 수금하는 기계인지 알수 있고, 설령 돈을 풀어주는 기계라 할지언정 오전에 풀어줄지 오후에 풀어줄지 밤에 풀어줄지는 기계와 기계를 조작하는 구기시만 알고 있는 것이다.
그 분의 설명에 의하면, 오래 앉아 있는 사람들은 종업원이 「요주의 인물(要注意 人物)」로 찍어서 본다는 것이다.
오래 앉아서 돈 왕창 나가면 이성을 잃게 되고, 그래서 사고 치면 종업원들도 골치 아프고, 경찰까지 가야 할 좋지 않은 일이 생기는 것이다.
돈 많이 바쳤다고 그 집에서 좋은 손님 대접은 못 받는 것 같다.
경영 상태는 매출액의 20%정도가 점포 측의 이익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20% 중에 15%는 제 비용으로 지출되고, 나머지 5% 정도만 사장님의 이익이라고 한다.